주식은 자유롭게 사고팔 수 있으며 현재 시점에서 매수자와 매도자 간 거래 금액이 맞으면 바로 성립되지만 선물은 현재가 아닌 미래 가격을 정해놓고 매수 약속을 하는 것입니다. 이와 관련한 구체적인 선물 거래 의미를 살펴보겠습니다.
선물 거래 의미
주식과 비교해서 말씀드리겠습니다. 선물과 다르게 주식은 보유 기간도 존재하지 않고 자유롭게 매수, 매도가 가능하고 적정 가격이 성립되면 바로 체결되는 구조입니다. 반면 선물 거래는 단순히 주식뿐만 아니라 물건, 자산을 미리 예측하여 결정된 가격으로 일정한 시점에 사고파는 것을 약속하는 것입니다. 수개월 후의 가격을 미리 예측하는 것은 결코 쉽지 않기 때문에 주식보다 어렵다고 느끼게 됩니다.
예시를 통한 선물 거래 흐름
선물 거래는 어떠한 과정을 거치게 될까요?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예시를 들어보겠습니다. 그래픽 카드 취급을 하는 도매업자가 있다고 가정하겠습니다. 그래픽 카드는 소비자의 수요 증감 또는 반도체 수급 여부 등 상황에 따라 가격이 달라질 수 있는 전자제품입니다. 도매업자는 그래픽 카드 시기에 따라 가격 변동이 있기 때문에 다소 안정된 가격으로 판매가 되길 원할 것입니다.
그래픽 카드 현재 가격이 20만 원이라고 예를 들겠습니다. 지금부터 9개월 이후 시점에서는 그래픽 카드 가격이 어떻게 변했을까요? 아무도 8개월 이후 가격 변동이 어찌 될지 알 수 없습니다. 바로 이 시점에서 선물 거래가 발생합니다. 여기서 그래픽 카드는 기초 자산을 의미하는데요. 이러한 기초자산을 기준으로 3개월, 6개월, 9개월 후의 가격을 미리 정해서 거래하는 것이 선물 거래입니다.
홍길동이라는 구매자가 나타나서 도매업자와 접촉 후 그래픽 카드를 9개월 후에 30만 원에 구매하겠다고 합니다. 현재 가격이 20만원인데 40만원에 사겠다고 하면 도매업자 입장에서는 손해 볼 것이 없다고 판단했기 때문에 도매업자는 수락을 하게 됩니다. 이렇게 서로 계약을 체결하였고 이유야 어찌되었든 홍길동은 9개월 뒤에 30만원에 도매업자와 거래를 해야 합니다. 이는 선물 거래를 한 것입니다. 현재 기초 자산을 가지고 일정기간 이후에 미리 정해진 가격에 매수, 매도를 는 약속을 했습니다. 여기서 그래픽 카드를 파는 도매업자는 매도자가 되고 물건을 구매하려는 홍길동은 매수가가 됩니다.
현재로부터 9개월이라는 시간이 흘렀습니다. 그래픽 카드 가격은 40만 원으로 가격이 껑충 뛰었습니다. 그렇다면 누가 이익을 봤을까요? 당연히 구매자인 홍길동이 이익입니다. 40만원에 유통되는 그래픽 카드를 30만 원에 구매했기 때문입니다. 반면 농부 입장에서는 40만원으로 팔아야 할 것을 30만원에 팔기로 약속했으므로 어쩔 수 없이 30만원에 내놓아야 합니다.
반대로 보았을 때 만약 9개월 이후 그래픽 가격이 25만 원이 되었다면 30만 원에 사들인 구매자 홍길동이 손실을 본 것이고 농부 입장에서는 개당 5만 원의 이익을 볼 수 있는 것입니다. 이와 같이 선물 거래는 서로 미리 예측하여 결정된 가격을 알 수 없으므로 이후의 시세에 따라 누군가는 손해를 보고 다른 누군가는 이익을 보게 됩니다. 바로 코 앞의 주가로 판단하기 힘든데 몇 달 뒤의 주가 예측을 한다는 것은 결코 쉬운 일이 아닙니다.
마무리
증권시장도 선물 거래가 존재합니다. 기초 자산은 코스피 200이며 향후 코스피 200 지수가 상승할 것이라고 판단되면 선물 지수를 매수하면 되고, 지수가 하락할 것이라 판단될 경우 매도하시면 됩니다. 선물 거래는 보유 기간이 정해져 있는 시한부 상품이므로 3개월마다 한번 만기가 도래하게 됩니다.
공매도, 대차거래 의미와 주가 상관 관계
국내 주식시장에서 '공매도'라는 단어를 부정적으로 바라보는 이유가 주가 하락 요인이기 때문입니다. 인위적으로 주가를 떨어뜨려 시세 차익을 얻게 되는 공매도 및 대차거래 의미 및 주가 상
aroldis.tistory.com
종목 거래 활성화 되는 액면분할 개념 및 효과
기업의 성장으로 실적이 좋아지면 자연스레 종목의 주가가 상승하게 되어 주식 금액이 높아지는데요. 이를 낮추기 위하여 주식 액면가를 나누는 액면분할을 시행함으로써 얻어지는 효과에 대
aroldis.tistory.com
장외 대량매매 블록딜 시행이 불러오는 주가 영향
주가는 외부 요인과 기업의 실적 등으로 상승 또는 하락 움직임을 보이지만 최대주주 및 특수관계인의 블록딜 행사로도 주가가 잠시 요동을 치게 됩니다. 장외 시간에 대량매매를 실행하는 블
aroldis.tistor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