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용한정보 / / 2023. 8. 17.

구여권 신여권 차이:) 발급비용 및 유효기한 확인 하기

관할 구청을 방문하여 여권 발급 시 직원이 새로운 여권 또는 종전여권 발급여부를 물어볼 것입니다. 이러한 신여권 구여권 차이 확인과 발급비용의 다른 점 그리고 사용가능 기한까지 비교하며 알려 드리겠습니다.

 

 

우리가 사용하는 여권은 내부에 전차칩과 안테나가 내장되어 있어서 개인정보 또는 얼굴사진의 바이오 인식 정보가 저장되어 있습니다.

 

이러한 전자여권은 여권번호를 포함한, 이름, 생년월일과 같은 개인정보가 개인정보면과 전자칩, 기계판독영역 등에 저장되어 있으므로 위·변조가 어려운 구조입니다.

 

현재 새롭게 바뀐 신여권(파랑)과 기존 구여권(녹색) 모두 전자여권이며 보이는 외관 상 차이가 있을 뿐 기능적인 면에서 큰 차이점은 없습니다.

 

이와 같이 기능은 동일하지만 신여권을 만들게 된 이유에 대해 아래 구여권 신여권 차이 확인을 통해 설명하겠습니다.

 

구여권 신여권 차이 세부 사항

구여권과 신여권 차이점은 단순히 색상과 같은 외관뿐만 아니라 발급비용, 유효기간의 차이도 있습니다.

 

1. 표지 디자인 녹색에서 남색으로 변경

구여권-신여권-차이
구여권(좌) - 신여권(우)

신여권 표지 디자인이 기존 녹색에서 남색으로 변경 되었습니다. 그리고 로고 문양과 '대한민국 여권' 문자가 우측에 위치하였고 ICAO 표준 여권 로고도 기존 가운데에서  우측으로 이동하는 등 이전보다 깔끔하고 균형 잡힌 모습입니다.

 

신여권은 표지뿐만 아니라 표지 뒷면에 대한민국을 상징할 수 있는 태극문양과 도자기, 왕관, 무궁화, 유물 등 문화유산을 담았습니다. 이는 전문가와 국민여론조사를 통해 국민이 직접 선택한 디자인이라고 합니다.

 

2. 개인정보면 소재 변경하여 내구성 및 보안성 강화

구여권, 신여권 개인정보면을 보면 우선 기존 파란색에서 살짝 붉은색의 느낌으로 변경되었습니다. 내용 변경면의 차이를 보자면 기존 여권번호는 기존 숫자 8자리 조합인데 반해 신여권은 숫자 7자리, 영문 1자 조합으로 이루어졌습니다.

 

구여권-개인정보면신여권-개인정보면
구여권(좌) - 신여권(우)

날짜 표기 방식도 변경 되었습니다.  구여권은 날짜 표기를 '20 DEC 2021'의 형식으로 되어 있었지만, 현재 신여권은 '20 12월/DEC 2021'의 형태로 한글, 영문 방식 두 가지로 표현했습니다.

 

그리고 신여권은 개인정보 보호를 강화하기 위하여 주민번호 앞자리를 제외한 뒷자리는 표기를 제외하였습니다. 주민번호 전체 노출이 안되기 때문에 앞으로 신여권을 이용한 신분증 대용이 힘들 수도 있을 것 같습니다.

 

 

무엇보다 신여권의 장점 중 하나로써 개인정보면 재질을 플라스틱의 종류인 폴리카보네이트로 변경했습니다.

 

기존 구여권 개인정보면은 종이 재질로써 시간이 지날수록 훼손이 잘 되지만, 신여권은 견고하게 폴리카보네이트 소재를 채택함으로써 충격에 강하고 내구성이 높아졌으며 별도 불투명창 사진을 추가하는 등 보안성까지 강화되었습니다.

 

3. 사증면 디자인 변경 및 사증란 추가 폐지

구여권-사증-디자인신여권-사증-디자인
구여권(좌) - 신여권(우)

남대문과 다보탑이 메인이었던 기존 구여권 사증면이 대한민국 시대별 유물들을 배경으로 한 디자인으로 탈바꿈하였습니다.

 

그리고 신여권의 여권면수가 구여권에 비해 대폭 증가하였기 때문에 사증란 추가 부착 제도를 폐지하였습니다.

 

4. 소폭 증가한 사증면

구분 기존 종전여권 신여권
복수 단수 복수 단수
면수 24면 48면 12면 26 58 14

대체로 여권발급 신청 시 유효기간 10년짜리를 많이 하게 됩니다. 10년짜리 기존 복수여권 (녹색)은 48면이라 충분할 것이라 생각하지만 빈번하게 출국을 하게 되면 유효기간 만료일이 오기 전에 사증란이 부족하게 됩니다.

 

그래서 구여권은 사증란을 추가로 부착을 하게 되는 단점이 있었지만 신여권은 사증면을 10면 추가했기 때문에 자주 해외를 다녀오더라도 사증면이 부족 현상은 없어질 것으로 보입니다.

 

5. 구여권 신여권 발급비용 차이

현재 여권발급 신청을 하게 되면 기본적으로 신여권으로 발급받게 되지만 한시적으로 구여권도 발급받을 수 있습니다.

 

현재 신여권 연수별 발급수수료입니다.

구분 면수 발급수수료
10년 26면 50,000원
58면 53,000원
5년 26면 30,000원
58면 33,000원
5년 26면 42,000원
58면 45,000원
단수 14면 20,000원

유효기간 단수부터 5년, 10년까지 면수별로 발급수수료가 정해져 있는데요. 신여권이 나오기 전 구여권 발급수수료도 위와 동일한 금액입니다.

 

하지만 신여권이 나온 이후 구여권이 없어진 것은 아닙니다. 현재 사용 중인 구여권은 유효기간까지 그대로 사용해도 무방하며 새롭게 발급받으실 분도 기존 구여권으로 발급이 가능합니다.

 

구여권-종전여권-발급-가능

현재 관할 시 또는 구청이 기존 구여권 양식 재고를 상당량 보유하고 있기 때문에 이미 22년 5월 31일부터 기존 종전여권(녹색) 양식이 소진될 때까지 한시적으로 발급을 하고 있습니다.

 

종전여권 (구여권)의 장점이라면 5년에 가까운 유효기간을 부여함과 동시에 저렴한 발급수수료 (15,000원) 입니다. 신여권 기준 복수여권(5년) 수수료가 3만 원인 점을 감안한다면 절반의 비용에 불과하므로 특별한 사유가 없다면 종전여권 발급을 추천합니다.

 


 

 

로또 1등 당첨지역 리스트 최다 당첨 순위 TOP 10

대한민국 거의 모든 국민이라면 누구나 인생역전을 원하는 것이 당연한 것입니다. 그 꿈을 이루기 위해 로또 구매를 많이 하지요. 로또 1등 당첨지역 확인과 가장 많은 최다 당첨 순위 10위까지

aroldis.tistory.com

 

 

인기 무료 동영상 편집 프로그램 추천 순위 TOP 10

전문가뿐만 아니라 일반 개인도 동영상 제작을 위해 영상 편집을 하는 시대가 되었는데요. 어렵지 않게 무료로 구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 정말 많습니다. 그중에서 인기 있는 동영상 편집 프로그

aroldis.tistory.com

 

 

유성펜 자국 지우는 법 :) 의류, 책상, 피부, 플라스틱 소재별 제거 방법

뜻하지 않은 유성펜 자국은 기름 성분이므로 물로 쉽게 지워지지 않습니다. 일반 비누와 세제로 몇 번의 세탁을 거쳐도 어렵기 때문에 앞으로 소개드리는 방법으로 옷이나, 책상, 피부 등 소재

aroldis.tistory.com

  • 네이버 블로그 공유
  • 네이버 밴드 공유
  • 페이스북 공유
  • 카카오스토리 공유

유용한 콘텐츠